본문 바로가기
정보

1ppm, 헷갈리는 농도 단위? 이제 10초 만에 이해하고 계산하세요!

by 378jajsfjas 2025. 8. 31.
1ppm, 헷갈리는 농도 단위? 이제 10초 만에 이해하고 계산하세요!
배너2 당겨주세요!

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

1ppm, 헷갈리는 농도 단위? 이제 10초 만에 이해하고 계산하세요!

 

 

목차

  1. ppm, 대체 뭐길래 헷갈릴까?
  2. 1ppm은 몇 그램일까? 쉽고 간단한 방법
  3. 실생활에서 1ppm은 어떻게 사용될까?
  4. ppm 계산, 이제 어렵지 않아요!

ppm, 대체 뭐길래 헷갈릴까?

PPM은 "parts per million"의 약자로, 백만분율을 의미합니다. 말 그대로 전체 백만 개 중 특정 물질이 몇 개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농도 단위죠. 보통 아주 적은 양의 물질을 다룰 때 사용되는데, 주로 환경 오염 물질 농도, 수질 검사,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 등을 측정할 때 쓰입니다. 1ppm은 1,000,000분의 1을 나타내므로, 아주 작은 양을 표현하는 데 유용합니다. 하지만 이 '백만'이라는 숫자가 워낙 크다 보니 직관적으로 와닿지 않아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십니다. 특히, 1ppm이 과연 몇 그램에 해당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죠.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더 이상 헷갈리지 않고 ppm을 자유자재로 이해하고 계산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.

1ppm은 몇 그램일까? 쉽고 간단한 방법

1ppm을 그램으로 환산하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. PPM은 무게(질량) 또는 부피(체적) 기준 농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, 어떤 기준 물질 1kg 또는 1L에 특정 물질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.

가장 쉬운 방법은 무게 기준으로 접근하는 것입니다.

  • 1kg은 1,000g입니다.
  • 1g은 1,000mg입니다.
  • 1mg은 1,000μg(마이크로그램)입니다.

따라서 1kg은 1,000,000mg이 됩니다.
즉, 1kg(1,000,000mg)을 기준으로 1mg이 바로 1ppm에 해당합니다.

이를 그램으로 환산하면,
1kg(1,000g)에서 1ppm은 0.001g이 됩니다.

부피 기준으로도 비슷하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.

  • 1L(리터)는 1,000mL(밀리리터)입니다.
  • 1mL는 1,000μL(마이크로리터)입니다.

따라서 1L는 1,000,000μL가 됩니다.
즉, 1L(1,000,000μL)를 기준으로 1μL가 바로 1ppm에 해당합니다.

하지만 액체의 경우 대부분 밀도를 1g/mL로 가정하여 1L(1,000g)에 1mg이 들어있는 양을 1ppm으로 간주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즉, 액체 1L에 1mg이 들어있다면 그것이 1ppm인 것이죠.

실생활에서 1ppm은 어떻게 사용될까?

ppm은 우리 생활 곳곳에서 활용됩니다. 몇 가지 실생활 예시를 통해 ppm의 의미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해 봅시다.

  1. 수돗물 속 염소 농도: 수돗물 소독을 위해 염소가 사용됩니다. 법적으로 수돗물 잔류 염소 농도는 0.1~4.0ppm 이내로 규정되어 있습니다. 이는 수돗물 1L에 0.1~4.0mg의 염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뜻입니다. 만약 1ppm의 염소가 있다면, 이는 수돗물 1,000,000방울 중 1방울이 염소라는 매우 미세한 양을 의미합니다. 이 농도가 너무 낮으면 살균 효과가 없고, 너무 높으면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적정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2. 미세먼지 농도: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는 흔히 ㎍/㎥ 단위로 표현되지만, ppm으로도 환산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대기 중 오존(O3) 농도는 ppm 단위로 자주 사용됩니다. 1ppm은 공기 백만 부피 중 오존이 차지하는 부피가 1이라는 뜻으로, 오존 1ppm은 인체에 유해한 수준으로 간주됩니다.
  3. 수영장 물의 염소 농도: 수영장 물의 소독을 위해 염소 농도를 1~3ppm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. 이 역시 수영장 물 1kg에 1~3mg의 염소가 들어있다는 의미입니다. 너무 낮으면 세균이 번식하고, 너무 높으면 눈이 따갑고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.
  4. 주류의 알코올 도수: 흔히 말하는 % 도수는 백분율로 100g 중 알코올이 몇 g인지를 나타내지만, ppm은 이보다 훨씬 낮은 농도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어떤 음료에 극미량의 특정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때 그 농도를 ppm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.

이처럼 ppm은 아주 미세한 농도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단위이며,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 우리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ppm 계산, 이제 어렵지 않아요!

이제 ppm 계산을 직접 해볼까요? 아래의 간단한 공식을 사용하면 어떤 경우든 쉽게 ppm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ppm = (용질의 질량 / 용매의 질량) × 1,000,000
또는
ppm = (용질의 부피 / 용매의 부피) × 1,000,000

  • 예시 1: 10kg의 물에 소금 1g이 녹아있다면 몇 ppm일까요?
    • 용질(소금)의 질량: 1g
    • 용매(물)의 질량: 10kg = 10,000g
    • ppm = (1g / 10,000g) × 1,000,000 = 100ppm
    • 따라서 10kg의 물에 소금 1g이 녹아있는 농도는 100ppm입니다.
  • 예시 2: 500mL의 용액에 특정 물질이 2.5mg 녹아있다면 몇 ppm일까요?
    • 용질의 질량: 2.5mg
    • 용매의 부피: 500mL
    • 액체의 경우 1L=1kg으로 간주하여 계산하면, 500mL는 0.5kg=500g입니다.
    • ppm = (2.5mg / 500g) × 1,000,000
    • 여기서 단위를 통일해야 합니다. mg을 g으로 바꾸면 2.5mg = 0.0025g
    • ppm = (0.0025g / 500g) × 1,000,000 = 5ppm
    • 따라서 500mL 용액에 2.5mg의 물질이 녹아있는 농도는 5ppm입니다.

ppm은 '백만분율'이라는 의미를 이해하고, 기준이 되는 양(1kg 또는 1L)에 대해 얼마나 작은 양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생각하면 더 이상 어렵지 않습니다. 앞으로는 ppm이라는 단위를 만나도 당황하지 않고 쉽게 이해하고 계산할 수 있을 것입니다. 궁금증이 해결되셨기를 바랍니다.

 

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하세요~

 

더 자세한 자료 바로보기